CS

[Network] 네트워크의 구조
1. 컴퓨터 네트워크- 컴퓨터 간의 연결 2. 인터넷-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를 연결하는 거대한 컴퓨터 통신망 - TCP/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네트워크 3. 패킷(packet)-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작은 데이터 조각 - 네트워크에서 전송하는 데이터의 기본 단위 -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해서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작게 나누어서 보냄 - 대역폭(bandwidth):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최대 전송 속도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 전송량 - 송신측에서 각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 보내고수신측에서 패킷이 도착하면 번호순으로 정렬한다

[Network] 프로토콜 protocol
1. 프로토콜(protocol)- 컴퓨터 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 방법에대한 규칙이나 표준 통신 규약2. 프로토콜의 주요 요소a. 구문(syntax)- 데이터의 구조나 형식을 가리키는 것- 데이터가 어떤 순서로 표현되는지를 의미b. 의미(semantics)- 비트들의 각 부분의 뜻- 특정 패턴은 어떻게 해석되며, 그 해석에 따라 어떤 동작을 취할 것인가c. 타이밍(timing)- 언제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가- 어느 정도의 속도로 전송할 것인가3. 프로토콜의 주요 기능a. 단편화(Fragmentation)와 재조립(Reassembly)- 단편화: 송신 측에서 전송할 데이터를 전송에 알맞은 크기의 작은 블록으로 자르는 작업- 재조립: 수신 측에서 단편화된 블록을원래 데이터로 다시 조립하는 것b. 캡슐..

[Network] 캡슐화, 역캡슐화, VPN
1. 헤더(header)- 저장되거나 전송되는 데이터의 맨 앞에위치하는 추가적인 정보 데이터- 데이터를 전달받을 상대에 대한 정보도 포함2. 트레일러- 데이터를 전달할 때 데이터의 마지막에 추가하는 정보3. 캡슐화(encapsulation)- 데이터를 상대방에게 보낼 때각 계층에서헤더(데이터 링크 계층의 트레일러도 포함)를 붙여 나가는 것- 컴퓨터 통신에서 상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데이터에 추가하여 하위 계층으로 전송하는 기술4. 역캡슐화(decapsulation)- 데이터를 수신할 때 각 계층에서헤더(데이터 링크 계층의 트레일러도 포함)를 제거해 나가는 것- 상위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에서 하위 계층에서 추가한 정보와 데이터를 분리하는 기술5. VPN(Virtual Private Network) ..

인증과 인가란 무엇일까?
인증(Authentication)- 인증은 해당 유저가 실제 유저인지 인증하는 개념- 스마트폰에 지문인식, 이용하는 사이트에 로그인 등과 같이실제 그 유저가 맞는지 확인하는 절차 인가(Authorization)- 인가는 해당 유저가 특정 리소스에 접근이 가능한지허가를 확인하는 개념ex) 관리자 페이지 - 관리자 권한 쿠키-세션 방식의 인증- 특정 유저가 로그인되었다는 상태를 저장하는 방식- 인증과 관련된 아주 약간의 정보만 서버가 가지고 있게 되고,유저의 이전 상태의 전부는 아니더라도인증과 관련된 최소한의 정보는 저장해서 로그인을유지시킨다는 개념 JWT 기반 인증- JWT(Json Web Token)란인증에 필요한 정보들을 암호화시킨 토큰을 의미- JWT 기반 인증은 쿠키/세션 방식과 유사하게JWT토큰(..